- 저자 : 공현진
- 출 판 사 : 문학과지성사
- 출판년도 : 2025년
- 청구기호 : 813.7 공94ㅇ
“같이 떠내려가는 것.
같이 잠기고 같이 사라지는 것.
그런 것도 사랑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어디로, 어떻게, 무엇을 위해 헤엄치는지 모르는 채로도
마음껏, 진심으로 서로의 안녕을 빌어주는 미더운 마음
살아 있는 것들에 대한 가없는 사랑으로 일궈낸 이야기
제15회 젊은작가상 수상 작가 공현진의 첫 소설집!
멸망에 가까워지는 세상 속에서 내일의 희망을 말하는 작가, 공현진의 첫번째 소설집 『어차피 세상은 멸망할 텐데』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202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당시 “이 시대의 환부를 ‘있는 그대로’ 드러냄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동시대인들에게 모순과 아픔을 극복할 방법을 성찰케 하려”하는 “쉽게 보기 힘든 문제작”(심사위원 오정희·성석제)이란 호평을 받은 공현진은 그 믿음에 보답하듯 데뷔 이후 우리가 사는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세밀하게 들여다보는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왔다. 공현진의 소설 속 인물들은 가족의 기대와 이웃의 냉대 그리고 사회의 몰이해로 인해 마음에 상처를 입은 ‘남겨진 사람들’로 더 인간다운 삶, 이치에 맞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온몸으로 분투한다.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부터 이제 더는 소속 집단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되어버린 이들까지. 공현진은 자신의 첫 소설집에 우리 삶의 다양한 모습을 정확한 문장과 촘촘한 서술 방식 그리고 살아 있는 모든 대상을 향한 가없는 사랑으로 따뜻하게 담아냈다.
평단과 독자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동아일보 등단작 「녹」은 결혼이주여성 ‘녹’과 대학 시간강사인 화자를 병치시켜 아이를 잃은 엄마의 고통과 아이를 맡겨야만 했던 엄마의 죄책감을 각각의 층위에서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결코 혼자 살아갈 수 없으며 타인의 삶에 관심을 기울여야만 한다는 고유한 주제 의식은 “누군가를 현실에서 지우는 소설을 쓰지 말자”(『동아일보』 당선소감)는 다짐을 줄곧 지켜온 공현진의 굳센 소신이다. 그의 작품은 어디로, 어떻게,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지 모르면서도 내가 아닌 타인의 안위를 빌어주는 인물들의 미더움 마음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전쟁, 재난, 기후 위기,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와 같은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서도 남은 한 줄기 희망은 지금 나와 함께 살아가는 이들을 있는 힘껏, 진심으로 응원하는 마음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공현진의 소설은 보여준다. 그의 첫 작품은 독자들이 문학작품에 기대하는 살아가는 것에 대한 기쁨과 위로를 가장 명확한 방식으로 선사해줄 것이다.
주호는 살고 싶다는 강한 충동이 밀려오는 자신이 이상했다. 그런 충동은 죽음에 대한 충동이 있어야 짝을 이루는 것 아닌가. 삶이, 살아 있음이 자연스럽다면 살고 싶다는 충동 자체를 느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주호는 최근 들어 죽음에 대한 충동이나 갈망 없이도, 살고 싶다는 충동에 절실하게 시달렸다. 살고 싶다. 더욱 살고 싶다.
-「어차피 세상은 멸망할 텐데」(p. 54)에서
문학과지성사 ‘이 계절의 소설’ 선정작이자 제1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인 표제작 「어차피 세상은 멸망할 텐데」는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서 다른 이의 죽음을 목격한 ‘희주’와 ‘주호’가 수영 강습 초급반에서 만나 타인에게 마음을 열고 세상과 가까워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지구 멸망에 대해 말하면서도 더 건강하고 이롭게 살고 싶다는 인간의 욕망을 말하고 있는 이 작품은 발표 당시 독자들의 열렬한 지지와 공감을 자아내며 한국 문단에 공현진이라는 작가의 등장을 각인시켰다. 야간작업에서 만난 카샤가 사출성형기에 끼어 죽은 이후 “나는 얼마나 책임이 있을까”(p. 45)라고 되묻는 주호의 독백에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망 이후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은 무력한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단 한 번도 죽음에 대해 생각해본 적 없는 주호가 난생처음 “살고 싶다는 충동에 절실하게 시달”(p. 54)리게 된 것 역시 자신이 아닌 동료의 삶과 꿈에 대해 돌아본 이후라는 점에서, 소설은 인간은 태어난 순간부터 결코 개인으로만 살아갈 수 없다는 명징한 사실을 보여준다. 이번 소설집의 해설을 맡은 문학평론가 이소의 말을 빌려오자면 “공현진의 소설은 이 세계에 냉소와 포기만 남을 거라고 섣불리 짐작하는 대신 이곳을 지탱하는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질감과 온기를 부여”한다. 타인을 향한 선한 관심과 온정으로 “어차피 멸망할 세계라면, 우리 함께 멸망하자고, 이 말은 내게 함께 살아가자고, 살자고, 하는 말과도 같다”(‘작가의 말’)라고 말하는 공현진의 소설은 무기력한 세상에서 우리를 다시 한번 일으켜 세우는 용기가 되어줄 것이다.